s s

항체가 생성됐는데 병에 왜 걸릴까? 코로나를 예시로 들겠습니다.코로나에 한번도 걸린적 없는 사람이 코로나에 걸렸습니다.그러면 코로나에

2 2 2 2 2

항체가 생성됐는데 병에 왜 걸릴까? 코로나를 예시로 들겠습니다.코로나에 한번도 걸린적 없는 사람이 코로나에 걸렸습니다.그러면 코로나에

코로나를 예시로 들겠습니다.코로나에 한번도 걸린적 없는 사람이 코로나에 걸렸습니다.그러면 코로나에 대한 항체가 생깁니다.1. 그 항체는 우리 몸에서 지속적으로 유지가 되나요?2. 만약에 유지가 된다면, 코로나 항체가 있는 사람이 다시 코로나에 걸릴 가능성이 있는 이유는 뭔가요? 자세하게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ont
image

생명과학연구원입니다. 바이러스 연구하면서 백신에 대해서도 자료를 조사한 적이 있습니다

일단 백신이라함은 죽은 바이러스를 넣어주던가 바이러스의 외피 단백질만 넣어줍니다

그런데 보통 바이러스주라고 하여 인플루엔자의 경우는 그해에 유행하는 바이러스를 선별하여

일부만 넣어줍니다. 예를들면 태국 2019 A바이러스, 미국 2020 A바이러스등을 혼합하여 넣어줍니다

그러면 이러한 백신을 맞으면 각 대륙별로 인플루엔자의 유전자가 차이가 나기때문에 항원도 일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섞어주는 것인데

사실 과거보다 세계사람들의 교류가 빈번하여 다른 대륙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들어오기도 합니다. 그러면 내가 맞는 백신에 없는 타입이라면 감염되어 가벼운 증상으로 넘어갑니다.

코로나도 마찬가지로 코로나 외피단백질의 유전자만 넣어주는 것인데 변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항체반응성이 낮아질 수 있고 또한 개인마다 항체생성 반응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낮은 확률이지만 재감염되는 사례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는 보통 가벼운 증상으로 넘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