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 s

이라크가 망한 이유? 어떤 문헌을 읽어보니까 이라크가 냉전 이후 2000년대까지 중동에서 지금으로 치면

2 2 2 2

이라크가 망한 이유? 어떤 문헌을 읽어보니까 이라크가 냉전 이후 2000년대까지 중동에서 지금으로 치면

어떤 문헌을 읽어보니까 이라크가 냉전 이후 2000년대까지 중동에서 지금으로 치면 사우디같은 패권국이었다는데 맞나요? 자세히 읽어보니까 이란이랑 이웃국가와 전쟁도 했고 또 무기도 많아서 침공도 했다고하는데, 만약에 미국이 아니라 다른 나라와 전쟁을 했다면 이겼을까요?

cont
image

정말 날카로운 질문이에요!

맞습니다. 이라크는 한때 중동에서 매우 강력한 영향력을 가졌던 “지역 패권국” 중 하나였어요.

지금의 사우디아라비아처럼 군사력, 자원, 지정학적 위치에서 큰 역할을 했고,

심지어 1980~1990년대까지만 해도 미국과도 협력 관계였던 적이 있었죠.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이라크가 왜 몰락했는지, 정말 미국 때문만인지, 만약 미국이 아니었다면 결과가 달랐을지

한번에 정리해서 이해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 1. 이라크가 한때 강대국이었다는 건 사실인가요?

네, **사담 후세인 집권기(1979~2003)**의 이라크는

중동에서 손꼽히는 군사강국이자 지역 패권을 노리던 국가였습니다.

이라크의 전성기 특징

  1. 풍부한 석유 자원: 세계 최대 석유 생산국 중 하나

  2. 강력한 군사력:

  • 1980년대엔 중동 최대 규모의 지상군 보유

  • 구소련으로부터 첨단 무기 수입

  • 화학무기, 생물무기 등 비대칭 전력 보유

  1. 냉전 시대의 지정학적 활용도:

  • 미국과 소련 모두 중동 영향력 확대를 위해 이라크를 필요로 함

⚔️ 2. 그러면 왜 무너졌을까? (주요 몰락 요인)

1) 이란-이라크 전쟁 (1980~1988)

  • 사담 후세인이 이슬람 혁명 직후 혼란한 이란을 공격했으나,

  •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하고 양국 모두 엄청난 피해.

  • 경제력, 병력, 국고 모두 심각한 소모.

  • 이 전쟁이 사실상 이라크 국력 쇠퇴의 시작이었어요.

2) 쿠웨이트 침공 & 걸프전 (1990~1991)

  • 전쟁 후 경제 위기 속 사담 후세인이 쿠웨이트를 침공.

  • 미국 주도의 연합군이 압도적인 화력으로 이라크군 격퇴.

  • 이후 경제 제재 + 무력화 + 국제적 왕따 상태가 됩니다.

3) 2003년 미국의 이라크 침공

  • 대량살상무기 보유 혐의로 미국이 이라크를 침공.

  • 단기간에 사담 정권이 붕괴, 하지만 그 이후가 문제였어요.

  • 정권 공백 → 종파 갈등(수니 vs 시아파) → 테러 단체 확산

  • 이라크는 지금까지도 정치 불안 + 테러 + 분열 국가로 고통받고 있어요.

만약 미국이 아니라 다른 나라와 전쟁했다면?

이유 1: 이미 내부적으로 너무 지쳐 있었음

  • 이란과의 8년 전쟁 → 국력 고갈

  • 쿠웨이트 침공 → 국제 제재 시작

  • 미국 침공 전부터 이라크는 경제 파탄 + 국제 고립 + 내부 분열 상태

이유 2: 미국은 '정권 붕괴'까지 목표로 했기 때문에 강력한 결정타가 됨

  • 만약 러시아나 이란, 이집트 같은 다른 국가와의 충돌이었다면

  • 장기전은 가능했지만

  • 정권 붕괴 + 국가 파괴까지는 안 갔을 수도 있어요

  • 하지만 패권은 유지 못했을 것이에요.

결론 요약

항목

내용

이라크는 강국이었나?

✔️ 사담 후세인 시절, 군사력과 자원으로 중동의 패권국 중 하나

왜 무너졌나?

❌ 이란전쟁 → 쿠웨이트 침공 → 미국 침공 → 내부 붕괴

미국 아닌 다른 나라와 싸웠다면?

⚖️ 단기 패망은 막았을 수도 있으나, 결국 쇠퇴 불가피

이 내용은 복잡해 보이지만,

정리하면 이라크는 스스로 너무 많은 전쟁과 무리수를 두었고,

미국의 침공은 이미 허약해진 상태에서 결정타를 날린 셈이에요.

"이 포스팅은 네이버 쇼핑 커넥트 활동의 일환으로, 판매 발생 시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